요즘 윈도우10이 설치가 된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25년 10월경 고객지원이 종료가 된다는 문구를 자주 접하게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윈도우11로 업데이트를 하거나 시스템 사양이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윈도우11이 설치가 가능한 성능의 컴퓨터를 구매하라고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그래서 문득 윈도우11을 설치할수 없는 컴퓨터에서도 윈도우11를 사용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고 있던 참이었다.
한가지 방법으로 생각해본것이 윈도우11를 설치를 충족하는 컴퓨터에서 윈도우11를 설치한후 해당 윈도우가 설치된 ssd혹은 hdd를 윈도우11 설치 사양에 못미치는 컴퓨터에 장착하는 방법을 생각해봤다. 이 방법은 시도는 해보지 않았지만 가능할것 같다는 추측만 해봤던 방법이다.
그러다가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윈도우11 사양에 못미치는 컴퓨터에 윈도우11를 설치하는 영상을 보게되었는데 설치시 tpm 성능 체크 부분을 건너띄어서 강제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영상을 올리신 분의 블로그에서 해당 레지스트리 파일을 다운받아서 윈도우11설치과정에서 해당 레지스트리를 병합하는 설칳하는 방법이었다.
본인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도해보려고 하는 과정에서 우연찮게 쉽게 설치하는 방법을 찾게되었다.
본인이 유용하게게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10+윈도우11pe가 있는데 본인은 윈도우를 설치할때 pe로 부팅해서 사무실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는 윈도우 iso를 가상드라이브에 마운트해서 설치하곤하는데, 이방법으로 사무실의 본인 컴퓨터에 win11를 설치해보니 전혀 문제없이 설치가 마무리 되었다. 단 win11 24h2버전의 iso로 마운트해서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과정이 예전 방식과 다른 인터페이스가 뜨는데 이 방식 말고 설치과정중에 좌측 하단에 자그막게 '이전방식으로 설치'이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걸 선택해서 설치해야 된다.
이제 집에 있는 노트북중에 사양이 낮은 모델이 있는데, 이 노트북에도 테스트해볼겸해서 설치해봤는데 마찬가지로 설치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사용하는데도 현재까지는 별다른 문제점이 보이지 않았다.
위의 노트북보다 더 사양이 좋지 못한 미니pc가 거실 tv와 연결이 되어 있는데 간단하게 문서작성이나 인터넷 검색용으로 사용중인데 장난삼아 윈도우11를 설치해봤는데 설치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메모리는 8g이고, 2.5인치 256g ssd가 장착이 되어 있으나 CPU 성능이 워낙 낮다보니 윈도우10이 설치가 된 상태에서도 속도는 느린 컴퓨터였다. 그렇지만 윈도우11를 설치했다고 윈도우10보다 더 느려지거나 했던 느낌은 받지 못했다.